산행기/충청도

"괴산 35명산"에 포함된 주월산,박달산을 연결해서...

사노라면1 2013. 9. 2. 13:42

 ▶날짜:2013년 8월 31일(토)

 ▶코스:간곡마을-주월산-매바위 능선-느릅재-745봉-811봉-박달산-동골재(좌측방향)-임도-간곡마을

 ▶소요시간:5Hr

 ▶누구랑:경기 某 산악회 동행.  

 

 

 

 

 

○주월산(470m)○ 
괴산군에 있는 산 가운데 가장 낮다. 바위 능선이 병풍처럼 둘러쳐져 있어 산세가 빼어나고 정상에 오르면 남쪽으로 박달산을 비롯한 여러 산이 보인다.

주월은 "배넘이"라는 뜻으로 옛날 대홍수 때 배가 넘었던 곳이라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그 때문인지 주월리 동쪽 장연면으로 넘어가는 고개를 주월령이라 부르기도 하며, 또 다른 설에 의하면 조선의 고승 무학대사가 이 산을 보고

"배가 넘어 다닐 것이다"라는 말에 따라 배 주(舟),달 월(月)자를 써서 주월산이라는 지명을 썻다고도 한다.

 

 

 

 

 

오늘은 괴산 35명산 中에 포함된 주월산, 박달산을 찾아간다..

 

괴산 35명산은 괴산군에서 관내에 있는 산중에 가히 명산이라 칭할 만한 산을 엄선하여

널리 홍보하고 있는 산으로 많은 등산인들이 찾고 있는데, 기억을 더듬어 보니 5, 6개 빼놓고는 모두 밟아봤다..

 

앞으로 틈나는 대로 아직 미답인 곳도 찾아 봐야겠다..

 

 

 

 

▽간곡리에서 내려 주월령 방향으로 300m정도 가면 左측으로 들머리다..

 

 

 

 

 

 

 

 

 

▽들머리다..

 

 

 

가파른 오르막에 숨이 턱턱 막힌다..

 

산은 오를 때마다 느끼지만 높은 산이나, 낮은 산이나 힘든 것은 똑같은 것 같다..
산을 대하는 마음의 무게 때문이 아닐까? 

 

 

 

 

 

 

 

열번이나 백번이나 오를 때마다 다른 느낌을 주는 산..
산이 변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변하기 때문에 다른 느낌을 주는 것이 아닐까? 

 

 

 

 

 

 

 

 

 

 

 

 

 

▽매바위 능선...

 

 

 

 

 

 

 

 

 

▽주월산 정상..

 

 

 

 

솔숲향을 맞으며 박달산으로 향한다..
오늘 하루 주어진 시간만큼 열심히 즐기자..

 

 

 

 

 

 

 

 

 

 

 

 

 

▽가야할 건너편 박달산..

 

 

 

 

 

 

 

 

 

▽매바위인가?

 

 

 

 

 

 

 

 

 

 

 

 

 

 

매바위 능선에 서니 힘들게 올라오면서 흘린 땀을 

한줄기 시원한 바람이 불어와 식혀준다..

 

 

 

 

 

 

 

 

 

 

 

 

 

▽느릅재...저기를 지나 左측의 박달산으로 오를 예정이다..

 

 

 

 

 

 

 

 

 

 

 

 

 

 

 

 

 

 

 

 

 

 

 

 

 

 

 

 

 

 

 

 

 

 

 

 

 

 

 

 

 

 

 

 

 

 

 

 

 

 

 

 

 

 

 

 

 

 

 

 

 

 

 

 

 

 

 

 

 

▽지나온 주월산..

 

 

 

 

 

 

 

 

 

 

 

 

 

 

 

 

 

 

 

 

 

 

 

 

 

 

 

 

 

▽금마타린가?

 

 

 

 

 

 

 

 

 

▽고도는 낮은 산이지만 잘생긴 노송이 많다..

 

 

 

 

 

 

 

 

 

 

 

 

 

 

 

 

 

 

 

▽칡꽃..

 

 

 

 

 

 

 

 

 

▽물봉선..

 

 

 

 

 

 

 

 

 

 

 

 

 

 

 

 

 

 

 

▽느릅재..박달산은 건너편 등산 안내도 뒤로 오른다..

 

 

 

 

박달산은 전형적인 육산이다..

울창한 숲 사이로 이어진 등로를 걷는다..

 

 

 

 

 

 

 

 

습기 가득 머금은 숲속에서 내뿜는 딱히 무어라고 표현하기
어려운 숲냄새가 숲 속 가득히 퍼져있다..

 

 

 

 

 

 

 

 

사람마다 다른 체취가 있듯
산도 저마다의 서로 다른 독특한 냄새가 있나보다..

 

 

 

 

 

 

 

 

 

 

 

 

 

 

 

 

 

 

 

 

 

 

 

 

 

 

 

 

 

 

 

 

▽부부가 같이 산에 다니는 모습이 부럽다..

 

 

 

 

 

 

 

 

 

 

 

 

 

 

 

 

 

 

 

▽헬기장..

 

 

 

 

 

 

 

 

 

 

 

 

 

 

 

 

  

 

○박달산(825m)○ 
정상이 3개의 봉우리로 되어 있고, 잘 알려지지 않은 만큼 자연 상태가 잘 보존되어 있다.

산행은 느릅재에서 시작하는데, 가까이 있는 주월산(507m)의 산행 기점이기도 하다.

 

느릅재는 옛날 이곳에 느릅나무가 많아 붙여진 지명이지만 지금은 느릅나무를 찾아볼 수 없으며,

느릅재는 해발 300m라서 정상이 멀지 않아 산행을 부담없이 즐길 수 있다.  

느릅재에서 첫번째 봉우리인 740봉에 이르는 길에는 소나무가 울창하고, 돌로 축성된 성지가 남아 있다. 

 

 

 

 

 

 

 

▽박달산 정상..

 

 

 

 

 

 

 

 

 

▽동골재...左측으로 하산..

 

 

 

 

 

 

 

 

 

▽흰진범...

 

 

 

 

 

 

 

 

 

 

 

 

 

 

골 깊은 골짜기를 타고 물이 흘러내린다..
그 물에 땀에 쩔은 몸을 닦고나니 상쾌하다..

 

 

 

 

 

 

 

 

 

 

 

 

 

 

 

 

 

 

 

 

 

 

 

▽하산 완료..